전체 글
정처기 실기 2-2. UI 설계
1. UI 설계를 위한 UML - UML :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에서 산출물을 명세화, 시각화, 문서화 할 때 사용되는 모델링 기술과 방법론을 통합해서 만든 표준화된 범용 모델링 언어 - UML 특징 : 가시화 언어 / 구축 언어 / 명세화 언어 / 문서화 언어 - UML 구성요소 : 사물 / 관계 / 다이어그램 - UML 다이어그램 : 구조적 / 정적 다이어그램 (Structural / Static Diagram) 클래스 객체지향 모델링 시 클래스의 속성 및 연산과 클래스 간 정적인 관계를 표현 객체 클래스에 속한 사물들, 즉 인스턴스를 특정 시점의 객체와 객체 사이의 관계로 표현 컴포넌트 시스템을 구성하는 물리적인 컴포넌트와 그들 사이의 의존 관계를 나타냄 배치 컴포넌트 사이의..
정처기 실기 2-1. UI 요구사항 확인
1. UI 요구사항 확인 - UI : 사용자와 시스템 사이에서 의사소통할 수 있도록 고안된 물리적, 가상의 매개체 - UI 유형 : CLI / GUI / NUI / OUI - UI 설계 원칙 : 직관성 누구나 쉽에 이해하고 쉽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함 쉬운 검색, 쉬운 사용성, 일관성 유효성 정확하고 완벽하게 사용자의 목표가 달성될 수 있도록 제작 쉬운 오류 처리 및 복구 학습성 모두가 쉽게 배우고 사용할 수 있게 제작 쉬운 접근, 쉽게 학습, 쉽게 기억 유연성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최대한 수용하고, 실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제작 오류 예방, 오류 감지, 실수포용 - UI 설계 지침 : 사용자 중심 / 일관성 / 단순성 / 결과 예측 가능 / 가시성 / 표준화 / 접근성 / 명확성 / 오류 발생..
정처기 실기 1-3. 요구사항 확인 / 1-4. 분석 모델 확인하기
1. 요구사항 - 요구공학 : 사용자의 요구가 반영된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해 사용자 요구사항에 대한 도출, 분석, 명세 확인 및 검증하는 구조화된 활동 - 요구사항의 분류 : 기능적 요구사항 비기능적 요구사항 시스템이 제공하는 기능, 서비스에 대한 요구사항 기능 이외의 사항, 시스템 구축에 대한 제약사항에 관한 요구사항 기능성, 완전성, 일관성 신뢰성, 사용성, 효율성, 유지보수성, 이식성, 보안성, 품질 관련 요구사항, 제약 사항 - 개발 단계 구성 : 요구사항 도출 - 소프트웨어가 해결해야 할 문제를 이해하고, 고객으로부터 제시되는 요구에 대해 관련 정보를 식별하고 수집 방법 결정, 수집된 요구사항을 구체적으로 표현하는 단계 요구사항 분석 - 완전성과 일..
정처기 실기 1-2. 현행 시스템 분석
1. 현행 시스템 파악 - 현행 시스템 파악 절차 : 구성/기능/인터페이스 파악 -> 아키텍처 및 소프트웨어 구성 파악 -> 하드웨어 및 네트워크 구성 파악 -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 여러 가지 소프트웨어 구성용소와 그 구성요소가 가진 특성 중에서 외부에 드러나는 특성, 그리고 구서요소 간의 관계를 표현하는 시스템의 구조나 구조체 -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프레임워크 : 소프트웨어 집약적인 시스템에서 아키텍처가 표현해야 하는 내용 및 이들 간의 관계를 제공하는 아키텍처 기술 표준 -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4+1 뷰 : 유스케이스 뷰 다른 뷰를 검증하는 데 사용 논리 뷰 기능적인 요구사항이 어떻게 제공되는지 설명 프로세스 뷰 비기능적인 속성으로서 자원의 효율적..
정처기 실기 1-1. 소프트웨어 개발방법론
1. 소프트웨어 개발방법론 - 소프트웨어 생명주기 모델(SDLC) : 시스템의 요구분석부터 유지보수까지 전 공정을 체계화한 절차 - SDLD 프로세스 : 요구사항 분석 -> 설계 -> 구현 -> 테스트 -> 유지보수 - 소프트웨어 생명주기 모델 종류 : 폭포수 모델 - 소프트웨어 개발 시 각 단계를 확실히 마무리 지은 후에 다음 단계로 넘어가는 모델 - 고전적 생명주기 모형 프로토타이핑 모델 - 고객이 요구한 주요 기능을 프로토타입으로 구현하여 피드백을 반영하여 소프트웨어를 만들어가는 모델 - 발주자나 개발자 모두에게 공동의 참조 모델 제공 나선형 모델 -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점진적으로 개발 - 계획 및 정의 -> 위험 분석 -> 개발 -> 고객 평가 반복적 모델 - ..
7. Git 자유자재로 활용하기 (2)
7. 적용한 작업 내용은 스택에서 없애기 이전 영상에서 배웠던 커맨드들을 잠깐 정리해보겠다. 1. 작업 내용 저장 : git stash 2. 작업 내용 조회(=스택 살펴보기) : git stash list 3. 작업 내용 적용 : git stash apply [작업 내용의 아이디] * 작업 내용의 아이디를 생략하면 가장 최근의 작업 내용이 적용됨 4. 작업 내용 제거 : git stash drop [작업 내용의 아이디] * 작업 내용의 아이디를 생략하면 가장 최근의 작업 내용이 제거됨 이전에 적용(apply)한 작업 내용은 스택에서 제거(drop)해주는 게 좋다고 했었다. 그래서 git stash apply를 쓰고 git stash drop을 바로 해줬었는데 사실 이런 식으로 번거롭게 할 필요없이, g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