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Back-end/3-3. Spring - 김영한

    1. 스프링 입문 - ch4. [ 스프링 빈과 의존관계 ]

    1. 의존성 주입 (DI) 생성자에 @Autowired 가 있으면 스프링이 연관된 객체를 스프링 컨테이너에서 찾아서 넣어준다. 이렇게 객체 의존 관계를 외부에서 넣어주는 것은 DI(Dependency Injection), 의존성 주입이라 한다. * Autowired를 사용하기 위해선 해당 클래스, 주입하려는 객체 모두 스프링 빈에 등록되어 있어야 한다. DI에는 필드 주입, setter 주입, 생성자 주입 3가지가 있다. 위처럼 사용하는게 생성자 주입, 아래처럼 필드 앞에 @Autowired를 붙여서 사용하는게 필드 주입이다. (but 필드 주입은 권장하지 않음. 필드에 바로 주입시키므로 뭔가 변경하기가 어렵다) setter 주입은 아래와 같다. public하게 열려 있으므로 외부에서 혹시라도 잘못 바꿀..

    1. 스프링 입문 - ch4. [ 스프링 빈과 의존관계 ]

    1. 스프링 입문 - ch2. [ MVC와 템플릿 / API]

    1. MVC와 템플릿 전달된 주소를 -> 내장 톰캣 서버가 받아서 -> 컨트롤러가 우선 확인 -> 컨트롤러에 매핑 있으면 viewResolver가 뷰를 찾아서 넘김 -> Tymeleaft 템플릿 엔진 처리 해서 웹 브라우저에 전달 2. API 전달된 주소를 -> 톰캣 서버가 스프링으로 전달 -> @ResponseBody가 붙어있으면 HttpMessageConverter가 1.단순 문자이면 StringConverter, 2.객체가 오면 JsonConverter가 동작 -> 문자 혹은 JSON 데이터를 웹 브라우저로 전달 @ResponseBody를 사용 => HTTP의 BODY에 문자 내용을 직접 반환 viewResolver 대신에 HttpMessageConverter가 동작 기본 문자처리: stringHt..

    1. 스프링 입문 - ch2. [ MVC와 템플릿 / AP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