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unyj99
라둥이
yunyj99
GitHub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309)
    • 1. 프로그래밍 (50)
      • 1-1. Git (17)
      • 1-2. Java (13)
      • 1-2-1. Java GUI (1)
      • 오류 (12)
      • 기타 (7)
    • 2. Front-end (57)
      • 2-1. HTML (5)
      • 2-2. CSS (19)
      • 2-3. Java Script (33)
      • 2-4. React (0)
    • 3. Back-end (47)
      • 3-1. Spring MVC - 국비 (15)
      • 3-2. Spring MVC - 남궁성 (30)
      • 3-3. Spring - 김영한 (2)
    • 4. Android (1)
    • 5. DB (20)
      • 4-1. MySQL DBMS (20)
    • 6. 자료구조 & 알고리즘 (44)
      • 6-1. 자료구조 (14)
      • 6-2. 백준 (30)
    • 7. 웹 디자인 (7)
      • 7-1. UX 디자인 (7)
    • 8. 자격증 (35)
      • 8-1. 정보처리기사 (35)
    • 프로젝트 (3)
      • 프로젝트 기록 (3)
    • etc... (43)
      •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39)
      • 잡담 (4)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최근 글

티스토리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yunyj99

라둥이

쓰기
내가 참고하려고 기록하는 맥북 설정
1. 프로그래밍/기타

내가 참고하려고 기록하는 맥북 설정

2022. 12. 29. 18:06

< 윈도우 키보드처럼 변경 >

복붙할 때 좌측 하단 끝에 ctrl키를 사용하는 게 익숙해서 윈도우처럼 키 배열을 변경했다. karabiner 이용!

 

우선 설정 -> 키보드 -> 키보드 단축키 -> 입력소스 에서 아래와 같이 변경 (F18키를 한/영 전환키로 설정)

참고로 한/영키 전환이 느려서 찾아보니 위 두 항목을 바꿔서 저장해주니 해결되었다.

요렇게

 

카라비너에서 좌측 fn키를 command키, 우측 command키를 한/영키(=F18), 우측 option키를 fn키로 변경!

 

 

 

* 만약 카리비너에서 키맵핑이 안 먹을 때는

 Devices 에서 해당 장치에 Modify events  체크해주기!

 

* 해당 키 코드를 모르겠을 땐 카라비너 EventViewer  -> Main 에서  키를 눌러보면 해당 키의 키 코드가 뜬다!!


< 윈도우 키보드 설정 >

블루투스 키보드 뭐 살까 하다가 마이크로소프트 서피스 키보드 샀다. 매직 키보드랑 고민하다가 이게 젤 맘에 들어서.... 아무래도 윈도우 키보드다보니 키 배열이 불편해서 이것도 설정을 변경해줬다.

 

마찬가지로 카라비너에서 설정!! 그냥 내가 편한대로... 마음대로... 변경..

 

lang1(한/영키)가 동작하도록 F18키로 변경

lang2(한자키)는 command키처럼 동작하도록 변경

left_command(윈도우키)는 alt키처럼 동작하도록 변경

left_control 키는 command키처럼 동작하도록 변경

 

 

 


< 핫 코너 설정 >

 

설정 -> 데스크탑 및 Dock -> 핫 코너  에서 아래와 같이 설정

그러면 마우스를 끝부분으로 이동시키면 설정한 프로그램이 실행된다!

 

 

 


< 화면 캡쳐 키 단축키 >

윈도우에서는 윈도키+Shift+S 키가 영역 캡쳐 후 자동 클립보드 저장 이었다. 

"선택한 영역의 그림을 클립보드에 복사"를 alt+Shift+S로 키보드 단축키 설정에서 변경!

"선택한 영역의 그림을 파일로 저장"은 alt+Shift+4가 되도록 설정

 


< 파인더에서 터미널 열기 단축키 >

1. 시스템 설정 -> 키보드 -> 키보드 단축키 -> 서비스 -> 파일 및 폴더 -> 폴더에서 새로운 터미널 열기에 cmt+shift+option+. 단축키 설정

 

2. 앱 단축키 -> + 클릭 -> Finder.app 선택 후 메뉴 제목을 "폴더에서 새로운 터미널 열기"로 설정 후 단축키 동일하게 입력

 

 

 


<  HOME / END 키 변경 >

맥에서는 HOME / END 키가 각각 페이지 상단, 하단으로 이동한다. 각 줄의 처음과 끝으로 이동하도록 변경시키기 위해 Karabiner 이용!

 

1. karabiner에서 Complex Modifications -> Add Rule -> Import more rules from the Internet (Open a Web Browser) 클릭

2. PC-Style Shortcuts 옆에 Import 클릭

3. 아래 두 항목 Enable 클릭

 

 

 


< 단어 단위 커서 이동 >

윈도우에서는 단어 단위 커서 이동이 Ctrl+방향키 였으나 맥에서는 Option+방향키이다.

불편해서 이것 또한 Ctrl+방향키로 동작하도록 변경!

 

HOME/END 키 설정과 비슷하다. 이번에는 Excahnge command + arrows keys with option + arrows keys 를 import하면 됨!!

 

이렇게 하니까 command+방향키와 alt+방향키의 모든 동작이 변경된다 ㅜㅜ

json 코드를 만들어서 카라비너에 추가해주어서 해결했다.(엑셀은 제외하고 동작하도록 설정)

 

사용자 폴더 아래에 .config/karabiner/assets/complex_modifications에 json 코드 파일을 넣고 카라비너에서 Complex Modifications 부분에 직접 만든 rule을 추가해주면 끝!

{
  "title": "custom shortcut",
  "rules": [
    {
      "description": "change shortchut command + left/right arrow <-> option +left/right arrow",
      "manipulators": [
        {
          "type": "basic",
          "from": {
            "modifiers": {
              "mandatory": [
                "left_gui"
              ]
            },
            "key_code": "left_arrow"
          },
          "conditions": [
            {
              "type": "frontmost_application_unless",
              "bundle_identifiers": [
                "com.microsoft.Excel",
                "com.jetbrains.intellij"
              ]
            }
          ],
          "to": [
            {
              "repeat": false,
              "modifiers": [
                "left_alt"
              ],
              "key_code": "left_arrow"
            }
          ]
        },
        {
          "type": "basic",
          "from": {
            "modifiers": {
              "mandatory": [
                "left_gui"
              ]
            },
            "key_code": "right_arrow"
          },
          "conditions": [
            {
              "type": "frontmost_application_unless",
              "bundle_identifiers": [
                "com.microsoft.Excel",
                "com.jetbrains.intellij"
              ]
            }
          ],
          "to": [
            {
              "repeat": false,
              "key_code": "right_arrow",
              "modifiers": [
                "left_alt"
              ]
            }
          ]
        },
        {
          "type": "basic",
          "from": {
            "modifiers": {
              "mandatory": [
                "left_gui",
                "left_shift"
              ]
            },
            "key_code": "left_arrow"
          },
          "to": [
            {
              "repeat": false,
              "key_code": "left_arrow",
              "modifiers": [
                "left_alt",
                "left_shift"
              ]
            }
          ]
        },
        {
          "type": "basic",
          "from": {
            "modifiers": {
              "mandatory": [
                "left_gui",
                "left_shift"
              ]
            },
            "key_code": "right_arrow"
          },
          "to": [
            {
              "repeat": false,
              "key_code": "right_arrow",
              "modifiers": [
                "left_alt",
                "left_shift"
              ]
            }
          ]
        },
        {
          "type": "basic",
          "from": {
            "modifiers": {
              "mandatory": [
                "left_alt"
              ]
            },
            "key_code": "left_arrow"
          },
          "conditions": [
            {
              "type": "frontmost_application_unless",
              "bundle_identifiers": [
                "com.microsoft.Excel",
                "com.jetbrains.intellij"
              ]
            }
          ],
          "to": [
            {
              "repeat": false,
              "modifiers": [
                "left_gui"
              ],
              "key_code": "left_arrow"
            }
          ]
        },
        {
          "type": "basic",
          "from": {
            "modifiers": {
              "mandatory": [
                "left_alt"
              ]
            },
            "key_code": "right_arrow"
          },
          "conditions": [
            {
              "type": "frontmost_application_unless",
              "bundle_identifiers": [
                "com.microsoft.Excel",
                "com.jetbrains.intellij"
              ]
            }
          ],
          "to": [
            {
              "repeat": false,
              "key_code": "right_arrow",
              "modifiers": [
                "left_gui"
              ]
            }
          ]
        },
        {
          "type": "basic",
          "from": {
            "modifiers": {
              "mandatory": [
                "left_alt",
                "left_shift"
              ]
            },
            "key_code": "left_arrow"
          },
          "to": [
            {
              "repeat": false,
              "key_code": "left_arrow",
              "modifiers": [
                "left_gui",
                "left_shift"
              ]
            }
          ]
        },
        {
          "type": "basic",
          "from": {
            "modifiers": {
              "mandatory": [
                "left_alt",
                "left_shift"
              ]
            },
            "key_code": "right_arrow"
          },
          "to": [
            {
              "repeat": false,
              "key_code": "right_arrow",
              "modifiers": [
                "left_gui",
                "left_shift"
              ]
            }
          ]
        }
      ]
    }
  ]
}

 

그러면 command+왼쪽 방향키/오른쪽 방향키와 alt+왼쪽 방향키/오른쪽 방향키의 동작이 바뀐다. 


< 클립보드 기록 확인 >

앱스토어에서 flycut 설치

 

그러면 오른쪽 상단에 가위 아이콘이 뜬다.

preferences에서 아이콘 변경 / 핫 키 설정이 가능하다!! 다만 이미지 복사는 클립보드 목록에 뜨지 않는다..ㅜㅜ

 

 


< 트랙패드 & 마우스 스크롤 방향 동일하게 변경 >

https://pilotmoon.com/scrollreverser/

에서 Scroll Reverser 설치

 

트랙패드 수직&수평 반전 설정!!

 

로그인할때 시작도 체크


참조

https://almostgeneral.tistory.com/6

 

mac에서 클립보드 히스토리를 볼 수 있는 방법!? (feat. flycut)

복사했던 목록들을 저장하고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은 아주아주아주 유용하고 편리하다 ! 윈도우에서는 기본으로 해당 기능을 제공하는데, (window + v) mac에서는 어떤 방법이 있는지 araboza. 맥에서

almostgeneral.tistory.com

https://tttap.tistory.com/277

 

[ macOS ] Karabiner 로지텍 키보드 MX Keys 안되는 문제 해결

맥을 사용하면서 키맵핑에 적합한 프로그램이 없어서 한동안 맥 키보드 키맵핑을 포기하고 사용했었습니다. 기본 키맵핑만 사용하던 중 카라바이너(Karabiner)라는 프로그램을 알고서 매우 편리

tttap.tistory.com

 

'1. 프로그래밍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IntelliJ - [ 여러 프로젝트 띄우기 ]  (0) 2023.02.14
IntelliJ - [ 단축키 / 설정 ]  (0) 2023.02.07
카라비너 단축키 생성  (0) 2023.01.17
더미데이터 생성 - [ Mockaroo / Workbench 프로시저]  (0) 2022.05.16
유닉스 커맨드 라인  (0) 2021.07.12
    '1. 프로그래밍/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 IntelliJ - [ 단축키 / 설정 ]
    • 카라비너 단축키 생성
    • 더미데이터 생성 - [ Mockaroo / Workbench 프로시저]
    • 유닉스 커맨드 라인
    yunyj99
    yunyj99
    개발자를 목표로 하는, 새싹처럼 성장하고 싶은 사람의 학습 공간 ^v^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