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윈도우 키보드처럼 변경 >
복붙할 때 좌측 하단 끝에 ctrl키를 사용하는 게 익숙해서 윈도우처럼 키 배열을 변경했다. karabiner 이용!
우선 설정 -> 키보드 -> 키보드 단축키 -> 입력소스 에서 아래와 같이 변경 (F18키를 한/영 전환키로 설정)

참고로 한/영키 전환이 느려서 찾아보니 위 두 항목을 바꿔서 저장해주니 해결되었다.

카라비너에서 좌측 fn키를 command키, 우측 command키를 한/영키(=F18), 우측 option키를 fn키로 변경!

* 만약 카리비너에서 키맵핑이 안 먹을 때는
Devices 에서 해당 장치에 Modify events 체크해주기!

* 해당 키 코드를 모르겠을 땐 카라비너 EventViewer -> Main 에서 키를 눌러보면 해당 키의 키 코드가 뜬다!!

< 윈도우 키보드 설정 >
블루투스 키보드 뭐 살까 하다가 마이크로소프트 서피스 키보드 샀다. 매직 키보드랑 고민하다가 이게 젤 맘에 들어서.... 아무래도 윈도우 키보드다보니 키 배열이 불편해서 이것도 설정을 변경해줬다.
마찬가지로 카라비너에서 설정!! 그냥 내가 편한대로... 마음대로... 변경..
lang1(한/영키)가 동작하도록 F18키로 변경
lang2(한자키)는 command키처럼 동작하도록 변경
left_command(윈도우키)는 alt키처럼 동작하도록 변경
left_control 키는 command키처럼 동작하도록 변경

< 핫 코너 설정 >
설정 -> 데스크탑 및 Dock -> 핫 코너 에서 아래와 같이 설정
그러면 마우스를 끝부분으로 이동시키면 설정한 프로그램이 실행된다!

< 화면 캡쳐 키 단축키 >
윈도우에서는 윈도키+Shift+S 키가 영역 캡쳐 후 자동 클립보드 저장 이었다.
"선택한 영역의 그림을 클립보드에 복사"를 alt+Shift+S로 키보드 단축키 설정에서 변경!
"선택한 영역의 그림을 파일로 저장"은 alt+Shift+4가 되도록 설정

< 파인더에서 터미널 열기 단축키 >
1. 시스템 설정 -> 키보드 -> 키보드 단축키 -> 서비스 -> 파일 및 폴더 -> 폴더에서 새로운 터미널 열기에 cmt+shift+option+. 단축키 설정

2. 앱 단축키 -> + 클릭 -> Finder.app 선택 후 메뉴 제목을 "폴더에서 새로운 터미널 열기"로 설정 후 단축키 동일하게 입력

< HOME / END 키 변경 >
맥에서는 HOME / END 키가 각각 페이지 상단, 하단으로 이동한다. 각 줄의 처음과 끝으로 이동하도록 변경시키기 위해 Karabiner 이용!
1. karabiner에서 Complex Modifications -> Add Rule -> Import more rules from the Internet (Open a Web Browser) 클릭
2. PC-Style Shortcuts 옆에 Import 클릭

3. 아래 두 항목 Enable 클릭

< 단어 단위 커서 이동 >
윈도우에서는 단어 단위 커서 이동이 Ctrl+방향키 였으나 맥에서는 Option+방향키이다.
불편해서 이것 또한 Ctrl+방향키로 동작하도록 변경!
HOME/END 키 설정과 비슷하다. 이번에는 Excahnge command + arrows keys with option + arrows keys 를 import하면 됨!!

이렇게 하니까 command+방향키와 alt+방향키의 모든 동작이 변경된다 ㅜㅜ
json 코드를 만들어서 카라비너에 추가해주어서 해결했다.(엑셀은 제외하고 동작하도록 설정)
사용자 폴더 아래에 .config/karabiner/assets/complex_modifications에 json 코드 파일을 넣고 카라비너에서 Complex Modifications 부분에 직접 만든 rule을 추가해주면 끝!
{
"title": "custom shortcut",
"rules": [
{
"description": "change shortchut command + left/right arrow <-> option +left/right arrow",
"manipulators": [
{
"type": "basic",
"from": {
"modifiers": {
"mandatory": [
"left_gui"
]
},
"key_code": "left_arrow"
},
"conditions": [
{
"type": "frontmost_application_unless",
"bundle_identifiers": [
"com.microsoft.Excel",
"com.jetbrains.intellij"
]
}
],
"to": [
{
"repeat": false,
"modifiers": [
"left_alt"
],
"key_code": "left_arrow"
}
]
},
{
"type": "basic",
"from": {
"modifiers": {
"mandatory": [
"left_gui"
]
},
"key_code": "right_arrow"
},
"conditions": [
{
"type": "frontmost_application_unless",
"bundle_identifiers": [
"com.microsoft.Excel",
"com.jetbrains.intellij"
]
}
],
"to": [
{
"repeat": false,
"key_code": "right_arrow",
"modifiers": [
"left_alt"
]
}
]
},
{
"type": "basic",
"from": {
"modifiers": {
"mandatory": [
"left_gui",
"left_shift"
]
},
"key_code": "left_arrow"
},
"to": [
{
"repeat": false,
"key_code": "left_arrow",
"modifiers": [
"left_alt",
"left_shift"
]
}
]
},
{
"type": "basic",
"from": {
"modifiers": {
"mandatory": [
"left_gui",
"left_shift"
]
},
"key_code": "right_arrow"
},
"to": [
{
"repeat": false,
"key_code": "right_arrow",
"modifiers": [
"left_alt",
"left_shift"
]
}
]
},
{
"type": "basic",
"from": {
"modifiers": {
"mandatory": [
"left_alt"
]
},
"key_code": "left_arrow"
},
"conditions": [
{
"type": "frontmost_application_unless",
"bundle_identifiers": [
"com.microsoft.Excel",
"com.jetbrains.intellij"
]
}
],
"to": [
{
"repeat": false,
"modifiers": [
"left_gui"
],
"key_code": "left_arrow"
}
]
},
{
"type": "basic",
"from": {
"modifiers": {
"mandatory": [
"left_alt"
]
},
"key_code": "right_arrow"
},
"conditions": [
{
"type": "frontmost_application_unless",
"bundle_identifiers": [
"com.microsoft.Excel",
"com.jetbrains.intellij"
]
}
],
"to": [
{
"repeat": false,
"key_code": "right_arrow",
"modifiers": [
"left_gui"
]
}
]
},
{
"type": "basic",
"from": {
"modifiers": {
"mandatory": [
"left_alt",
"left_shift"
]
},
"key_code": "left_arrow"
},
"to": [
{
"repeat": false,
"key_code": "left_arrow",
"modifiers": [
"left_gui",
"left_shift"
]
}
]
},
{
"type": "basic",
"from": {
"modifiers": {
"mandatory": [
"left_alt",
"left_shift"
]
},
"key_code": "right_arrow"
},
"to": [
{
"repeat": false,
"key_code": "right_arrow",
"modifiers": [
"left_gui",
"left_shift"
]
}
]
}
]
}
]
}
그러면 command+왼쪽 방향키/오른쪽 방향키와 alt+왼쪽 방향키/오른쪽 방향키의 동작이 바뀐다.
< 클립보드 기록 확인 >
앱스토어에서 flycut 설치
그러면 오른쪽 상단에 가위 아이콘이 뜬다.

preferences에서 아이콘 변경 / 핫 키 설정이 가능하다!! 다만 이미지 복사는 클립보드 목록에 뜨지 않는다..ㅜㅜ
< 트랙패드 & 마우스 스크롤 방향 동일하게 변경 >
https://pilotmoon.com/scrollreverser/
에서 Scroll Reverser 설치
트랙패드 수직&수평 반전 설정!!

로그인할때 시작도 체크

참조
https://almostgeneral.tistory.com/6
mac에서 클립보드 히스토리를 볼 수 있는 방법!? (feat. flycut)
복사했던 목록들을 저장하고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은 아주아주아주 유용하고 편리하다 ! 윈도우에서는 기본으로 해당 기능을 제공하는데, (window + v) mac에서는 어떤 방법이 있는지 araboza. 맥에서
almostgeneral.tistory.com
[ macOS ] Karabiner 로지텍 키보드 MX Keys 안되는 문제 해결
맥을 사용하면서 키맵핑에 적합한 프로그램이 없어서 한동안 맥 키보드 키맵핑을 포기하고 사용했었습니다. 기본 키맵핑만 사용하던 중 카라바이너(Karabiner)라는 프로그램을 알고서 매우 편리
tttap.tistory.com
'1. 프로그래밍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IntelliJ - [ 여러 프로젝트 띄우기 ] (0) | 2023.02.14 |
---|---|
IntelliJ - [ 단축키 / 설정 ] (0) | 2023.02.07 |
카라비너 단축키 생성 (0) | 2023.01.17 |
더미데이터 생성 - [ Mockaroo / Workbench 프로시저] (0) | 2022.05.16 |
유닉스 커맨드 라인 (0) | 2021.07.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