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unyj99
라둥이
yunyj99
GitHub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309)
    • 1. 프로그래밍 (50)
      • 1-1. Git (17)
      • 1-2. Java (13)
      • 1-2-1. Java GUI (1)
      • 오류 (12)
      • 기타 (7)
    • 2. Front-end (57)
      • 2-1. HTML (5)
      • 2-2. CSS (19)
      • 2-3. Java Script (33)
      • 2-4. React (0)
    • 3. Back-end (47)
      • 3-1. Spring MVC - 국비 (15)
      • 3-2. Spring MVC - 남궁성 (30)
      • 3-3. Spring - 김영한 (2)
    • 4. Android (1)
    • 5. DB (20)
      • 4-1. MySQL DBMS (20)
    • 6. 자료구조 & 알고리즘 (44)
      • 6-1. 자료구조 (14)
      • 6-2. 백준 (30)
    • 7. 웹 디자인 (7)
      • 7-1. UX 디자인 (7)
    • 8. 자격증 (35)
      • 8-1. 정보처리기사 (35)
    • 프로젝트 (3)
      • 프로젝트 기록 (3)
    • etc... (43)
      •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39)
      • 잡담 (4)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최근 글

티스토리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yunyj99

라둥이

쓰기
Spring - [기본 개발 도구 설치 - JDK11 / SDS3 / IntelliJ / Tomcat / VS Code]
3. Back-end/3-2. Spring MVC - 남궁성

Spring - [기본 개발 도구 설치 - JDK11 / SDS3 / IntelliJ / Tomcat / VS Code]

2022. 9. 5. 16:15

< Spring으로개발하기 위해 필요한 도구들 >

- 자바 개발도구 : Java11

- 통합개발 환경 : STS, IntelliJ

- 웹 서버 : Tomcat 9

- 웹 브라우저 : chrome

- 데이터 베이스 : MySQL 5.7

- 기타 : VS code, Git, AWS, Maven

 


   < JDK 11 설치 >

https://jdk.java.net/11/ 에서 OpenJDK Archive 클릭

OpenJDK Archive 클릭

아래 셋 중에 아무거나 받아도 OK

난 11.0.2 Windows로 설치!

다운받은 jdk-11.0.2 폴더는 C드라이브에 넣어주고 알아보기 쉽게 폴더명을 jdk11로 변경했다.

 

 

그리고 제어판 -> 환경변수 검색 -> 시스템 환경변수 -> 환경변수 -> 시스템 변수에서 Path 선택 후 편집 -> 새로 만들기 -> jdk 설치한 경로 추가해주기 (bin 폴더까지) -> 제일 위로 올려주고 확인!

위아 같이 경로 설정

 

(나중에 tomcat에서 쓰기 위해) 시스템 환경변수 -> 시스템 변수에서 새로 만들기 -> 아래와 같이 입력 후 확인

CMD에서 javac -version 입력 후 잘 설치되었는지 확인

 

 


   < STS3 >

https://spring.io/tools 이동

아래쪽에서 Spring Tool Suite 3 wiki 클릭

Spring Tool Suite 3 wiki 클릭

Windows는 아래쪽에서 zip 파일 다운로드!

설치 폴더 C 드라이브로 옮겨준 후 sts-3.9.18.RELEASE 폴더에서 STS.exe 파일 실행하고 Launch 누르면 끝!

 

-맥북 m1 참조-

더보기
https://www.azul.com/downloads/?version=java-11-lts&architecture=x86-64-bit&package=jdk
맥 m1은 위의 링크에서 intel용 JDK 다운로드
JDK11 다운로드


터미널에서
vim ~/.bash_profile

export JAVA_HOME=/Library/Java/JavaVirtualMachines/{java 버전}/Contents/Home
export PATH=$JAVA_HOME/bin:$PATH

source ~/.bash_profile​
순서대로 입력!


그 후 STS 우클릭 -> 패키지 내용 보기 -> Contents -> Eclipse -> STS.ini 파일 실행
맨 위에 아래와 같이 삽입
-vm /Library/Java/JavaVirtualMachines/{java 버전}/Contents/Home/bin/java
아래쪽에서 자바 버전도 수정
-Dosgi.requiredJavaVersion=11

참조
https://velog.io/@wijoonwu/%EB%A7%A5%EB%B6%81-M1-STS3-%EC%84%A4%EC%B9%98-%EC%98%A4%EB%A5%98-%ED%95%B4%EA%B2%B0

 

맥북 M1 STS3 설치 오류 해결

맥북 M1 STS3 설치 오류 해결 방법입니다.

velog.io


 

 

 

실행해서 File -> New 이동하면 제일 처음의 Spring Starter Project는 Spring Boot Project, Spring Legay Project는 Spring Project이다. 우리는 Spring Project를 만들 것이므로 Spring Legacy Project 클릭

첫 프로젝트를 생성해보자. 이름은 firstSpring으로 하겠다.

아래쪽에 Spring MVC template이 안 나오는 경우에는 Configure templates -> https://raw~ 2개를 remove 해주면 된다.

Configure templates... 클릭
가운데꺼 제외하고 https://raw~ 2개는 지워주기

그러면 Srping MVC Project가 잘 뜸!

다음으로 패키지의 구조를 정해주는 창이 뜬다. 보통은 사이트의 도메인을 거꾸로 적어준다.

con.fastcampus.app 입력! 

con.fastcampus.app 입력

그리고 finish를 누르면 프로젝트가 생성되어있다.

 

 


   < IntelliJ >

 

https://www.jetbrains.com/ko-kr/idea/download/#section=windows 이동

Ultimate 다운로드하기!! Community(무료 버전)은 Spring 지원이 안된다.

Ultimate로 다운로드

다운받은 실행파일 실행시키면 끝!!


   < Tomcat9 >

https://tomcat.apache.org/ 로 이동

왼쪽 아래 카테고리에서 Tomcat 9 클릭

Windows는 제일 위에 zip 다운로드

 

C 드라이브에 설치 폴더 옮겨주고 -> cmd에서 tomcat 설치 파일로 이동 -> startup 입력

localhost:8080 으로 들어가서 tomcat이 잘 설치되었는지 확인

 

다음으로 STS3에서 tomcat을 연결해주자. 서버 탭에서 새로운 server 생성후 tomcat v9.0 클릭 

Browse... 를 클릭해서 다운받은 tomcat 경로를 넣어준다. 

그러면 이제 확인해보자! 생성한 spring MVC project 우클릭 -> Run -> Run as -> Tomcat v9.0 클릭하고 finish를 누르면 잘 실행된다!

외부 브라우저에서 실행하는 방법은 Windows -> Preferences -> General -> Web Browser 에서 'User external web browser'를 클릭하고 아래에서 브라우저를 선택하면 된다. 브라우저는 크롬 권장!

 


   < VS Code >

 

https://code.visualstudio.com/ 로 들어가서 아래쪽에 Other downloads 클릭

Windows는 System Installer의 64 bit로 다운로드!

확장팩으로는 korean, prettier, open in browser, indent rainbow, auto rename tag를 다운로드 했다.

 

 


준비 끝!!!!

 

 


참조

https://fastcampus.co.kr/dev_academy_nks

 

'3. Back-end > 3-2. Spring MVC - 남궁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MVC - [ 바이너리 파일 ]  (0) 2022.10.18
Spring MVC - [ HTTP 요청과 응답 - 이론]  (0) 2022.10.14
Spring MVC - [ 클라이언트와 서버 ]  (0) 2022.10.07
Spring MVC - [ HTTP 요청과 응답 - HttpServletRequest ]  (0) 2022.09.20
Spring MVC- [원격 프로그램의 실행]  (0) 2022.09.05
    '3. Back-end/3-2. Spring MVC - 남궁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 Spring MVC - [ HTTP 요청과 응답 - 이론]
    • Spring MVC - [ 클라이언트와 서버 ]
    • Spring MVC - [ HTTP 요청과 응답 - HttpServletRequest ]
    • Spring MVC- [원격 프로그램의 실행]
    yunyj99
    yunyj99
    개발자를 목표로 하는, 새싹처럼 성장하고 싶은 사람의 학습 공간 ^v^

    티스토리툴바